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국내 원전 2011년 ~2023년 2월까지 137건의 사고.고장 발생   
  • 2011년 일본 동북부지방에서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발생 / 원자력 누출사고
  • 1986년 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와 동급인 사고수준 레벨 7
  • 그 당시부터 현재까지 국내 원전 사고,고장 발생은 137건이 발생, 한 달에 한번꼴로 문제가 발생한 셈 

 

국내 원전

 

 

국내 원전 한 달에 한 번꼴 사고·고장

- 최근 12년 고리 25·신고리 8건 등 - 부산·울산, 전체 137건의 31% - 건식저장시설 설치 땐 위험 커져 - 시민단체 “고리2 수명연장 반대”..

www.kookje.co.kr

 

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원전사고 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'전기결함'으로 인한 사고,고장 발생율이 가장 높았고 외부영향 > 기계결함> 인적오류순으로 사고나 원인이 발생하였습니다. 

 

※ 출처 : 원전안전운영정보시스템

 

원자력발전소 사고원인의 종류
  • 인적오류 : 정비원, 운전원 등의 기기조작, 정비 중 실수로 인해 사건이 발생한 경우
  • 기계결함 : 밸브, 배관, 펌프 등의 기기고장
  • 계측결함 : 제어기 혹은 제어계통, 전송기, 측정기 등의 계측기기 고장
  • 전기결함 : 차단기, 발전기, 전동기 등의 전기기기 고장
  • 외부영향 : 지진, 산불, 낙뢰, 태풍 등의 유입으로 인한 사건발생
  • 기타영향 : 특정항목으로 분류할 수 없는 원인 

 

한국원자력기술안전연구원의 안전규제사항
  1. 원자로안전 : 관련법령 및 기준에 따라 인허가(건설허가 및 운영허가) 적합성 검토 실시하고 있으며 건설중에는 품질보증검사와 사용전검사를 통해 관련설비가 허가받은 사항대로 안전하게 설치되었는가를 점검
  2. 방사선안전 :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발생장치 취급에 대해 업무전반에 걸친 인허가 심사와 검사를 수행
  3. 규제인프라 : 원자력안전의 미래규제수요와 현안대응을 위한 연구를 통해 정책/제도 및 기술수준을 개발하고 글로벌 안전규제 기술협력 및 전문인력양성

 

원자력관계 법령 및 위원회 규칙.pdf
0.97MB
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.pdf
1.08MB

원전사건 연도별 현황보기

 

 

반응형